테슬라는 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21% 폭락을 하며  2010년 상장 이래 최대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지난 4일 스탠다드앤푸어스(S&P) 500 지수 편입에 실패한 영향으로 보고 있습니다.

때문에 시가총액 기준 세계 1위 자동차 회사 테슬라가 대형 우량주 500개 종목으로 구성된 S&P500 지수에 들어가지 못한 이유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  "테슬라가 S&P 지수에서 탈락한 이유"라는 기사를 통해 분석했는데요.

WSJ은 우선 테슬라가 핵심 부문에서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는 점을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올해 상반기 테슬라가 판매한 차량 대수는 전 세계 다 합쳐도 14만대인데 업계 1위 도요타(416만대)의 20분의 1도 되지 않는 수치이기 때문입니다.

테슬라의 실적은 올해 2분기까지 4분기 연속 흑자를 냈습니다. 그러나 위원회는 그 수익이 자동차를 팔아 낸 게 아니라, '탄소배출권'을 다른 자동차 업체에 팔아서 냈다고 판단했습니다. 

 

실제 테슬라는 올해 2분기 탄소배출권을 판매해 4억2800만달러의 이익을 거뒀는데 지난 4분기 동안 배출권으로 벌어들인 이익은 10억달러 이상입니다. 이 탄소배출권 수익은 같은 기간 테슬라가 낸 이익의 두 배가 넘습니다. 

자체 수익성은 부진한데 그럼에도 테슬라의 주가수익비율(PER)는 1000배가 넘는 것은 업계 평균인 9배와 비교해서 큰 차이이고 애플(36배), 아마존(120배) 등과 비교해도 큰 수치입니다.

 

지난 4일 S&P 지수 편입 발표를 앞두고 "테슬라 실적의 질이 핵심 쟁점이 될 수 있다"면서 테슬라 주가의 변동성과 회사 수익의 지속가능성도 의심하고 있다고 언급했는데요.

S&P의 지수 편입은 단순히 수학적 공식에 따라 움직이지 않는다며 "선정 기준은 양적, 질적 측면을 모두 담고 있다. 테슬라의 경우 정량적 기준으로는 포함될 자격을 갖추고 있지만, 질적인 측면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S&P 지수 편입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언제든 가능하기 때문에 가능성은 있다고 하는것인데요. 

지수 편입 이후에도 테슬라에 대한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테슬라가 S&P지수에 편입되면 역대 최대 규모가 되는 것입니다.

테슬라의 기업가치는 기술기업 테라다인, 제약회사 카탈렌트, 전자상거래 업체 이티를 모두 합친 것보다 9배 높고, 포드·도요타·폭스바겐을 합친 것보다도 높습니다.

 

전문가들은 투기적 성격이 짙다는 점도 지수 편입 실패 요인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실제 테슬라 주식 보유자는 지난달 초 기준 약 56만명으로, 4월 말 이후 3개월 만에 두 배 이상 늘어났습니다.

 

주가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부담이 커진 데다, 단기 옵션에 투자금이 몰려 낙폭이 확대됐는데 옵션 거래 규모가 폭등-폭락 움직임을 야기시켰기 때문입니다.

마치며

​실제 수익의 질이 자동차로 나는 것이 아니라고 판단.

자동차 보다 실제 탄소배출권 판매를 통해 수익이 큼.

투기성 짙은 주가의 변동 등의 이유로 S&P 편입에 실패했습니다. 

 

 

2020/09/14 - [주식&기업] - 니콜라 사기일까? 주식 주가전망

2020/09/12 - [주식&기업] - 두산중공업 유상증자 후 주가 전망

2020/09/12 - [주식&기업] - 인수합병 매각 계약해지 따른 아시아나항공 주가전망

2020/09/12 - [제품리뷰] - 아이폰12 출시일 사전예약 할까? 애플 첫 5G폰

2020/09/09 - [주식&기업] - 미증시 나스닥 하락세 이유, 기술주 테슬라 폭락 주가전망

2020/09/10 - [제품리뷰] - 갤럭시 Z폴드2 사전예약 혜택 자급제폰 알아보기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댓글을 달아 주세요

TistoryWhaleSkin3.4">